[디지털 전환이 왜 중요할까?]
최근 몇 년 간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모바일 인터넷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들이 발달하였습니다.
기업들도 디지털 기술의 도입을 통해 운영 부분을 물리적 세계에서 디지털 영역으로 옮기고 있죠.
디지털 전환이란 이러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산업의 다양한 요소를 연결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자원 배분과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최적화하고, 생산 방식을 변경하면서 기업 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죠.
디지털 전환이 사업에 도움이 된다는 이야기는 많지만 실제로 어떤 부분에서 효과가 있는지 확인한 내용은 찾아보기 힘들죠.
그렇기 때문에 선뜻 디지털 전환에 비용을 지출하기 망설여질 듯합니다.
이에 오늘은 디지털 전환이 어떤 부분에서 효과가 있는지 실제 데이터를 통해 확인한 연구를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무엇을 연구하였을까요?]
연구대상은 상하이와 선전증권거래소에 상장된 1007개 기업으로, 2012년부터 2019년까지의 데이터를 이용하였는데요.
분석 대상 기업은 모두 제조업 기반의 내수 및 수출 병행 기업들이었습니다.
해당 논문은 변수 사이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정하는 방법을 사용했는데요.
디지털 전환 정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영업성과와 수출성과를 종속변수로 설정했습니다.
그리고 3개의 매개변수와 4개의 통제변수를 사용했습니다.
변수들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표를 참고해 주세요.
여기서 종속변수인 사업성과와 수출성과는 재무지표변수를 이용하여 계산했습니다.
주당순이익, 자기자본이익률(ROE) 등의 재무지표변수를 가지고 주성분 분석을 수행해 전체 표본을 잘 반영할 수 있는
5개의 주성분을 구했는데요. 5개의 주성분을 이용해 기업 경영 성과 종합 점수를 계산했습니다.
이때 사용한 9가지 재무지표변수와 주성분 표현은 아래 표들을 참고해 주세요.
이 연구에서 특징적인 부분은 디지털 전환 수준을 측정한 방법에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 비용을 구해 디지털 전환 정도를 측정하는 정량적인 방법을 참고했는데요.
상장기업 연차보고서에 기술되어 있는 무형자산 항목에서
‘경영소프트웨어’, ‘정보관리시스템’, ‘관리시스템’, ‘지능형 플랫폼’, ‘소프트웨어 시스템’ 등
디지털 전환 기술과 관련된 항목을
‘디지털 무형자산’으로 정의한 후, 해당 금액들을 사용하여 각 연도의 무형자산 비율을 계산해
디지털 전환 수준의 대리변수로 사용했습니다.
해당 논문의 가설과 가설 검정 결과는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검정 결과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제조 수출기업의 디지털 전환은 기업성과(사업성과 및 수출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2. 디지털 전환은 인적자원을 개선하고, 연구개발 정도를 높이며, 운영비용을 낮춤으로써 기업성과를 개선한다.
3. 디지털 전환은 공기업보다 사기업에서 효과가 더 두드러졌다.
4. 디지털 전환은 내륙 지역보다 해안 지역 기업에 효과가 더 두드러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Yunpei와 Tao, Qingnian은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했습니다.
1. 조직은 디지털 전환에 적합하도록 빠르게 변화해야 하며,
디지털 전환을 통해 정확한 재고 관리, 관리 및 운영 효율성 개선, 기업 운영 비용 절감을 이루어야 한다.
2. 디지털 기술과 생산 환경, 공급망, 시장 판매 사이의 장벽을 허물기 위해 디지털 기술 연구 및 구현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3. 정부는 지역 및 산업 간 장벽을 제거함으로써 데이터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도와야 하며,
이때 데이터 보호, 수집, 사용 및 전송 표준과 지침 권장 사항을 도입하기 위한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4. 정부는 디지털 인재 양성 및 도입을 강조하고, 기업에 직원 대상 전문 교육 실시와 고급 인재 도입을 장려해야 한다.
[연구의 시사점]
Yunpei와 Tao, Qingnian(2024)의 연구를 통해
디지털 전환은 인적자원 개선, 연구개발 촉진, 운영비용 감소를 통해 기업의 성과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것을 실제 데이터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정부 차원에서도 기업들이 이러한 디지털 전환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 구축과 다양한 지원사업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출처]
Yunpei Wang, Tao Wang, Qingnian Wang (2024). The impact of digital transformation on enterprise performance: An empirical analysis based on China’s manufacturing export enterprises. PLoS ONE, 19(3), 1-23.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299723
#연구 #스타트업 #플랫폼 #생태계 #투자 #리포트 #이슈 #브리프 #디지털 #데이터 #기업
#플랫폼SME연구센터 #디지털플랫폼생태계 #손에잡히는플랫폼 #플리네 #수출제조 #디지털전환
[디지털 전환이 왜 중요할까?]
최근 몇 년 간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모바일 인터넷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들이 발달하였습니다.
기업들도 디지털 기술의 도입을 통해 운영 부분을 물리적 세계에서 디지털 영역으로 옮기고 있죠.
디지털 전환이란 이러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산업의 다양한 요소를 연결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자원 배분과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최적화하고, 생산 방식을 변경하면서 기업 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죠.
디지털 전환이 사업에 도움이 된다는 이야기는 많지만 실제로 어떤 부분에서 효과가 있는지 확인한 내용은 찾아보기 힘들죠.
그렇기 때문에 선뜻 디지털 전환에 비용을 지출하기 망설여질 듯합니다.
이에 오늘은 디지털 전환이 어떤 부분에서 효과가 있는지 실제 데이터를 통해 확인한 연구를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무엇을 연구하였을까요?]
연구대상은 상하이와 선전증권거래소에 상장된 1007개 기업으로, 2012년부터 2019년까지의 데이터를 이용하였는데요.
분석 대상 기업은 모두 제조업 기반의 내수 및 수출 병행 기업들이었습니다.
해당 논문은 변수 사이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정하는 방법을 사용했는데요.
디지털 전환 정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영업성과와 수출성과를 종속변수로 설정했습니다.
그리고 3개의 매개변수와 4개의 통제변수를 사용했습니다.
변수들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표를 참고해 주세요.
여기서 종속변수인 사업성과와 수출성과는 재무지표변수를 이용하여 계산했습니다.
주당순이익, 자기자본이익률(ROE) 등의 재무지표변수를 가지고 주성분 분석을 수행해 전체 표본을 잘 반영할 수 있는
5개의 주성분을 구했는데요. 5개의 주성분을 이용해 기업 경영 성과 종합 점수를 계산했습니다.
이때 사용한 9가지 재무지표변수와 주성분 표현은 아래 표들을 참고해 주세요.
이 연구에서 특징적인 부분은 디지털 전환 수준을 측정한 방법에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 비용을 구해 디지털 전환 정도를 측정하는 정량적인 방법을 참고했는데요.
상장기업 연차보고서에 기술되어 있는 무형자산 항목에서
‘경영소프트웨어’, ‘정보관리시스템’, ‘관리시스템’, ‘지능형 플랫폼’, ‘소프트웨어 시스템’ 등
디지털 전환 기술과 관련된 항목을
‘디지털 무형자산’으로 정의한 후, 해당 금액들을 사용하여 각 연도의 무형자산 비율을 계산해
디지털 전환 수준의 대리변수로 사용했습니다.
해당 논문의 가설과 가설 검정 결과는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검정 결과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제조 수출기업의 디지털 전환은 기업성과(사업성과 및 수출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2. 디지털 전환은 인적자원을 개선하고, 연구개발 정도를 높이며, 운영비용을 낮춤으로써 기업성과를 개선한다.
3. 디지털 전환은 공기업보다 사기업에서 효과가 더 두드러졌다.
4. 디지털 전환은 내륙 지역보다 해안 지역 기업에 효과가 더 두드러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Yunpei와 Tao, Qingnian은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했습니다.
1. 조직은 디지털 전환에 적합하도록 빠르게 변화해야 하며,
디지털 전환을 통해 정확한 재고 관리, 관리 및 운영 효율성 개선, 기업 운영 비용 절감을 이루어야 한다.
2. 디지털 기술과 생산 환경, 공급망, 시장 판매 사이의 장벽을 허물기 위해 디지털 기술 연구 및 구현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3. 정부는 지역 및 산업 간 장벽을 제거함으로써 데이터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도와야 하며,
이때 데이터 보호, 수집, 사용 및 전송 표준과 지침 권장 사항을 도입하기 위한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4. 정부는 디지털 인재 양성 및 도입을 강조하고, 기업에 직원 대상 전문 교육 실시와 고급 인재 도입을 장려해야 한다.
[연구의 시사점]
Yunpei와 Tao, Qingnian(2024)의 연구를 통해
디지털 전환은 인적자원 개선, 연구개발 촉진, 운영비용 감소를 통해 기업의 성과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것을 실제 데이터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정부 차원에서도 기업들이 이러한 디지털 전환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 구축과 다양한 지원사업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출처]
Yunpei Wang, Tao Wang, Qingnian Wang (2024). The impact of digital transformation on enterprise performance: An empirical analysis based on China’s manufacturing export enterprises. PLoS ONE, 19(3), 1-23.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299723
#연구 #스타트업 #플랫폼 #생태계 #투자 #리포트 #이슈 #브리프 #디지털 #데이터 #기업
#플랫폼SME연구센터 #디지털플랫폼생태계 #손에잡히는플랫폼 #플리네 #수출제조 #디지털전환